- <적도 아래의 맥베스> 편지 속에서 외치는 피 끓는 이들의 절규
-
작성자 (*퇴회원)
등록일 2010.10.17
조회 1616
편지 속에서 외치는 피 끓는 이들의 절규
2차 대전 종전 후 BC급 전범과 군속은 일본식민지였던 동남아 각지의 감옥에서 교수형에 처해지거나 병사하였다. 극소수의 수감자만이 감형이 되어 출소를 했는데, 살아남은 한 사람의 옥중수기를 재일동포 작가 정의신이 직접 대면한 후 희곡으로 쓴 작품이 <적도 아래의 맥베스>다. 100년 전 한일병합으로 식민지 국가였던 조선의 청년들이 전쟁에 징집이 되어, 태평양 전쟁에 참전해 싸웠고, 병사건 군속이건 포로수용소 감시원이 되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일본인이 아니면서도 전범으로 몰려, 사형선고를 받고 복역 후 감형이 되어 살아남은 실재 인물의 실화를 다큐멘터리 제작에 참가했던 일본의 참신하고 열정적인 신진 작가의 추적에 의해 진실이 밝혀진다는 내용이다.
이 연극은 3중의 틀로 짜여졌다. 참혹한 젊은 시절을 보냈던 태국. 그 기억의 현장을 다시 찾아온 노인 김춘길의 ‘현실’이 연극의 가장 외곽에 놓인 틀이다. 그리고 연극의 중심 줄거리를 구성하는 김춘길의 ‘회상’이 두번째 틀이며, 그 틀 속에 극중의 남성이 감옥에서 여흥 삼아 선보이는 셰익스피어의 <맥베스>가 놓여 있다.
‘극은 사건 자체로 쑤-욱 들어가지 못한 채 겉을 빙빙 돌았다. 회상형의 구조는 아무리 눈물을 쏟아내고 불안감을 호소해도 결국은 과거의 후일담일 뿐, 팽팽한 현실과 직면하진 못했다. 건조한 다큐멘터리를 보는 느낌이다. 거기엔 분명 작가의 부담감이 작용했을 법 싶다. 새삼 위대한 예술 작품이란 비극적 현실을 100% 재현하는 게 아닌, 작가의 ‘위대한’ 곱씹음이 있어야 함을, 작품은 역설적으로 보여주었다.’ -중앙일보 최민우 기자
작가는 식민지를 경험하며 비참한 역사를 살았던 나약한 인간과 원하지 않는 눈앞에 놓인 운명(죽음)을 그리고 싶었던 것 같다. 이 불행한 한국 청년들의 인생을 3시간 안에 담는 것. 그리고 이해하는 것이 다소 어려운 일인 듯하다.
연극무대와 배우들의 연기는 전체적으로 훌륭했다. 특히 형무소에서는 힘차게 내지를 때와 약하게 가라앉을 때가 큰 폭의 차이를 보이는 연극 특유의 연기가 돋보였다. 또렷한 발성, 정확한 몸짓, 그리고 다양한 표정을 보여준 박남성 역을 맡은 정나진의 연기가 가장 인상 깊었다. 무대조명은 최소한만 사용하여 화려하지는 않았으나 배우들의 연기에 더욱 잘 집중 할 수 있었다. 음향효과는 두꺼운 쇠문이 열리고 닫히는 소리가 섬뜩하고 긴장감을 부여했다.
<적도 아래의 맥베스>는 이 절규하는 사람들을 기억하고자 한다. 작가가 알아낸 과거의 사실에 관객들도 따라가게 한다. 그렇게 후반부까지는 지나칠 만큼 객관성을 유지하고 있다. 민감한 역사문제를 다루면서도, 그러나 진지한 성찰이나 현재 우리가 지닐 의무와 책임은 묻지 않는다. 극의 종반 젊은 피인 음향보조의 목소리를 빌려 실천 의지를 짤막하게 표명하는 데에 그칠 뿐이다. 단순히 알고 기억하자는 것과 현실성이 따르지 못하는 실천의지가 관객에게 얼마나 큰 무게감으로 다가설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극장 객석은 나와 같은 과제 때문도 있겠지만 대부분 대학생들이었다. 새롭게 과거를 알게 되는 것도 좋겠지만, 더 나아가 과거가 현재에 미치고 있는 영향이나 우리가 짊어져야 할 책임과 의무를 깨닫기를 바라는 것은 다소욕심일 수도 있다고 생각했지만 이 연극은 작가와 연출가가 우리의 잊혀 진 역사 속에서 슬픔과 고통을 우리에게 보여주면서 우리에게 다시 한 번 되새길 수 있도록 잘 전달해주고 있다. 우리는 그 들이 어떻게 말도 못할 정도의 슬픔과 고통을 받았는지 이 작품을 통해 느끼면서 잊고 있던 역사를 되새기면 슬픔 속에 떠난 그들을 한번 떠올리면 그들의 영혼이 편히 잠들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