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극단

검색
회원가입 로그인 지금 가입하고
공연 할인쿠폰 받아가세요!
ENGLISH 후원회 디지털 아카이브

공연소개

그의 어머니 Mother of Him

2025.04.02 ~ 2025.04.19
※ <예술가와의 대화> 4.6.(일) 공연 종료 후, 객석
- 진행: 김정연 PD|참석: 연출 류주연, 배우 김선영, 김용준
* 참석자는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장소

    국립극장 달오름극장

  • 장르

    연극

  • 공연시간

    평일 19시 30분 / 토·일 15시 (월 공연 없음)
    ※ 접근성 회차: 4.11.(금)-4.13.(일)
     무대모형 터치투어, 음성해설, 이동지원 서비스, 한국수어통역, 한글자막해설

  • 입장권

    R석 6만원, S석 4만 5천원, A석 3만원

  • 소요시간

    155분(인터미션 15분 포함) *변경될 수 있음

  • 문의

    1644-2003

  • 관람연령

    14세 이상 관람가(2011년 12월 31일 출생자까지)

  • 자막

    영문/한글자막 매주 목요일, 일요일
    *4.13.(일) 회차는 영문 자막 제공 없음
    English subtitles will be provided on Thursdays and Sundays. (4.13.(Sun) No subtitles)

  • 주최

    국립극단, 국립극장

  • 제작

    국립극단

  • 에반 플레이시

  • 연출

    류주연

  • 번역

    이인수

  • 출연

    김선영 김시영 김용준 이다혜 최자운 최호재 홍선우

■ 예매 개시 일정

- 2024년 11월 15일(금) 14시 유료회원 우선예매 개시
- 2024년 11월 19일(화) 14시 일반예매 개시
※ 공연장 운영상 필요한 좌석 및 사전 단체 예약석은 유료회원 우선 예매 시 판매 제외됩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 주요 안내사항
- <그의 어머니>는 국립극단과 국립극장 ‘공동주최’ 공연으로 공연장은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입니다.

- 국립극단 <그의 어머니>는 아역 배우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보호자와 아역 배우 전담 매니저가 함께하여 아역 배우가 부적절한 장면과 대사에 노출되지 않도록 연습 환경을 조성하여 제작합니다.

- 본 공연은 일부 장면에서 부분적인 신체 노출이 포함되어 있으며, 조명 사용으로 인해 눈부심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공연 소요시간이 155분(인터미션 15분 포함)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예매 및 관람에 참고 부탁드립니다.

- 14세 이상 관람가 (2011년 12월 31일 출생자까지)입니다. 관람 연령 기준은 생년월일을 가장 최우선으로 합니다. 나이 확인은 육안으로 불가하오니 생년월일 확인이 가능한 신분증, 여권, 주민등록등본 등을 반드시 지참하셔야 티켓 수령이 가능합니다.

- 무대 설치 및 시야제한 확인 후 일부 객석이 추가 운영될 수 있습니다.

 

**트리거 워닝**
- 본 공연은 작품의 전개상 성범죄를 의미하는 단어와 욕설이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장면이 일부 포함되어 있습니다.

 

■ 접근성 회차 안내
- 2025년 4월 11일(금), 4월 12일(토), 4월 13일(일) 총 3회차는 접근성 회차로 운영합니다.
- 음성해설, 한국수어통역, 한글자막해설, 이동지원 서비스, 무대 모형 터치투어 이용이 가능합니다.
- 해당 회차에 한해 장애인 관객을 위한 우선예매가 2024년 11월 19일(화) 14시 - 11월 30일(토) 17시까지 진행됩니다.

 

※ 국립극단 <그의 어머니 Mother of Him> 푸른티켓이 매진되어 판매를 종료합니다.

※ 하단 회색 버튼을 눌러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 예매 일정 및 공연 정보는 변경될 수 있습니다. 관람일 전 본 상세페이지를 재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곳을 눌러 안내사항을 모두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 접근성 회차 운영 안내

▶ 음성해설: 음성해설 수신기를 통해 공연 감상에 필요한 정보를 음성으로 실시간 제공합니다.
- 음성해설 수신기는 수량이 한정되어 있으며 사전 예약제로 운영합니다.
- 음성해설 서비스가 필요한 시각장애인(동반 1인까지 가능)에 한하여 사전 예약이 가능하며, 예약 후 남은 수량은 현장에서 비장애인도 대여가 가능합니다.
※ 객석 내 음성해설 수신기로 인한 기기 소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음성해설 수신기 예약 방법]
1) 국립극단 홈페이지 예매: ‘장애인50%_시각장애인 음성해설 수신기 대여’ 할인권종 선택
2) 국립극단 콜센터 예매: 음성해설 수신기 예약 요청

 

예약 시 참고사항
1) 예약시점: 사전 예약은 관람일 전일 17시까지 가능합니다.
2) 수령방법
- 국립극장 달오름극장 매표소에서 예매 티켓 수령 후, 로비 내 음성해설수신기 대여소에서 수령하실 수 있습니다.
- 기기 대여 시 분실 방지를 위해 신분증을 보관하오니 반드시 신분증을 지참해주시기 바랍니다.
3) 유의사항
- 예매 티켓 1매당 1대의 음성해설 수신기를 대여하실 수 있습니다.
- 현장 대여는 관람 당일 로비 내 수신기 대여소에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한국수어통역: 공연 중 수어통역사는 무대를 정면에 두고 무대 가장자리에 고정하여 위치합니다.
- 접근성 회차의 수어통역사 위치에 따라 일부 대도구 또는 소품 가림이 있을 수 있습니다만 극의 이해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습니다.

▶ 한글자막해설: 무대 좌우 양쪽에 설치된 두 대의 모니터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한글자막 서비스가 필요한 청각·언어장애인에게 국립극단 콜센터를 통해 우선예매를 진행하며, 이후 잔여석에 한하여 비장애인 예매가 가능합니다.
- 비장애인 예매는 우선 예매 종료 후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며, 예매 전 안내사항을 반드시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 연출의 의도와 작품의 특성에 따라, 의미가 왜곡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대사와 자막이 일부 상이하게 진행될 수 있습니다. 

▶ 시각장애 관객 이동지원: 국립극장과 가까운 지하철 출구, 버스정류장에서부터 극장 매표소까지 시각장애 관객 이동을 지원합니다.
- 시각장애 관객 이동지원 서비스는 추후 업데이트 예정이며, 콜센터를 통해서 신청한 관객을 대상으로 별도 안내 예정입니다.

 

[이동지원 서비스 신청 방법]
신청 방법: 국립극단 콜센터 1644-2003(내선 1번)

 

신청 시 참고사항
1) 신청기간: 공연 관람 3일 전까지 신청 ※ 당일 신청 불가
2) 운영회차: 4월 11일(금), 4월 12일(토), 4월 13일(일) 기간 중 1일 2회 운영
3) 서비스 안내
- 공연 시작 1시간 전/30분 전 총 2회, 각각 1팀까지 신청 가능(1일 최대 2팀 신청 가능)
- 인원제한: 1팀에 최대 인원 2명까지만 가능
- 서비스 지원범위
① 3호선 동대입구역 6번 출구 앞에서 국립극장 달오름극장 매표소까지
② [동대입구역·장충동] 버스정류소 (국립극장·반얀트리호텔 방면/02222)에서 국립극장 달오름극장 매표소까지 
③ [국립극장·반얀트리호텔] 버스정류소 (장충단로입구 방면/02210)에서 국립극장 달오름극장 매표소까지
④ [국립극장·반얀트리호텔] 버스정류소 (장충동·동국대입구 방면/02209)에서 국립극장 달오름극장 매표소까지
※ 공연 종료 후에는 반대 동선으로 지원
※ ‘3호선 동대입구역 6번 출구(①)’와 ‘[동대입구역·장충동] 버스정류소 (국립극장·반얀트리호텔 방면/02222)(②)’에서 국립극장까지는 국립극장에서 운영하는 셔틀버스(*셔틀버스 운영 확인하기)를 이용하여 이동합니다. 

▶ 무대 모형 터치투어: 국립극장 달오름극장 로비에서 오디오 가이드를 들으며 무대 모형을 직접 만져 보실 수 있습니다.
- 현장에서 QR코드를 통해 시각장애인 관객을 위한 음성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 음성 가이드 내 공연의 스포일러 내용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접근성 회차 일부 좌석 우선예매: 접근성 회차는 장애 여부와 관계없이 누구나 관람 가능하며, 장애인 관객을 위한 일부 좌석 우선예매를 시행합니다.

 

[우선예매 이용 방법]
1) 국립극단 콜센터 1644-2003(내선 1번)
※ 안내견 동반 시 국립극단 콜센터로 사전 문의 부탁드립니다.
※ 이동지원 서비스를 희망하시는 경우 국립극단 콜센터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2) 청각·언어장애인 관객 예매방법(*안내 영상 바로가기): 통신 중계 서비스 손말이음센터(https://107.relaycall.or.kr)를 통한 콜센터 예매
※ 통신 중계 서비스는 청각, 언어장애인이 전화를 통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도움을 주는 서비스입니다.
   해당 서비스 이용이 불가하신 경우, 국립극단 이메일(cs@ntck.or.kr)로 예매 신청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청각, 언어장애인 표(티켓) 예매 신청서 다운로드

 

 

예매 시 참고사항
1) 우선예매 가능회차: 4월 11일(금), 4월 12일(토), 4월 13일(일) 총 3회차
2) 우선예매 가능기간: 2024년 11월 19일(화) 14시부터 11월 30일(토) 17시까지 예매 가능
※ 우선예매 기간 종료 후 미판매좌석은 일반 판매석으로 전환됩니다.
3) 우선예매 대상: 시각장애인, 청각·언어장애인 (복지카드 소지자 본인 포함 동반 1인까지 가능)
4) 우선예매 좌석 위치: 1층 F열 9-16번, G열 8-16번 (17석)

▶ 관람 당일 활동 지원 (극장 내 이동, 시설 안내, 기타 특이사항 등)이 필요하실 경우, 공연 관람 전날까지 국립극단 콜센터 1644-2003(내선1번) 또는 고객센터-Q&A 게시판(*Q&A 바로가기)으로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휠체어석 예매

- 예매방법: 국립극단 콜센터 (1644-2003/내선 1번) 또는 국립극장 콜센터 (02-2280-4114)
- 휠체어석 위치: 국립극장 달오름극장 무대를 정면에 두고 1층 왼쪽블록 후면 3석, 1층 오른쪽블록 후면 3석
- 휠체어석에서 전동 및 일반 휠체어 모두 앉으신 상태 그대로 관람 가능합니다.

■ [국립극장 달오름극장] 오시는 길

- 지하철 3호선 동대입구역 6번 출구 남산순환버스 정류장 앞에서 공연 1시간 전부터 20분 전까지 10분 간격으로 셔틀버스가 운행됩니다.
- 대중교통 이용 시 국립극장 홈페이지 내 이용안내-오시는 길 (*오시는 길 바로가기)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주차 및 교통 혼잡으로 당일 관람이 불가하거나 관람을 포기한 경우, 당일 예매 취소/환불/변경은 불가하오니 가급적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14세 이상 관람가 (2011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까지)
- 관람 연령 기준은 생년월일을 가장 최우선으로 확인합니다. 나이 확인은 육안으로 불가하오니 생년월일 확인이 가능한 신분증, 여권, 주민등록등본 등을 반드시 지참하셔야 티켓 수령이 가능합니다.
- 관람 연령에 맞지 않거나 나이 확인이 불가한 경우,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없이 티켓이 있더라도 입장은 불가하며 당일 취소/환불/변경이 되지 않사오니 예매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반드시 관람자 본인 아이디로 예매하시고, 관람 당일 예매자 본인 신분증 및 예매번호를 지참하시기 바랍니다.
- 대리 수령 및 양도가 불가하며, 개인 간의 거래 및 양도에 의한 피해는 예매처 및 공연장에서 해결이 불가합니다.

■ 할인 적용받은 분들은 할인정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시고 해당 할인의 증빙자료를 꼭 지참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할인 내역에 안내되어 있는 것처럼 관람 당일 예매 시 선택한 할인의 증빙으로만 할인 적용 가능하며, 증빙자료를 미지참하시거나 적용되지 않는 경우 정가 기준의 차액을 지불하셔야 티켓 수령 가능합니다. 
- 할인가가 동일하더라도 관람 당일 현장에서 변경 적용되지 않습니다.

■ 쾌적한 관람 환경을 위해 공연 시작 후 객석 입장은 불가하거나 최소화하여 운영합니다.

- 매표소는 공연 시작 1시간 전부터 이용 가능합니다.

- 입장이 허용될 경우, 지연 입장 안내를 따라 주시기 바랍니다.

- 공연 중 퇴장 시에도 재입장이 불가할 수 있습니다.

■ 공연 전 무대 사진과 커튼콜 촬영이 가능하며, 이를 제외한 공연 중 사전 협의되지 않은 촬영은 불가합니다.

그의 어머니 Mother of Him 포스터

"미워할 수가 없어. 어떻게 미워해? 그게 자식의 저주야.“

★★★ 2011 Samuel French Canadian Play Contest ★★★
★★★ King’s Cross Award for New Writing ★★★
★★★ Tarragon Theatre’s RBC Under 30 National Playwriting Competition ★★★

“긴장감이 넘치고 강렬하며 흥미로운 작품.
에반 플레이시의 밀도 높은 가족 드라마는 가해자가 아닌 피고인의 어머니에 초점을 맞춘다.” – The Stage
“빈틈없이 완성도 높은 연극” - WhatsOnStage

눈이 가득 덮인 캐나다, 하나의 사건으로 세상의 시선이 달라졌다.
쉴 새 없이 언급되는 라디오와 텔레비전,
기자들이 터트리는 수많은 플래시

“네 아들이 하룻밤에 여자 세 명을 강간했어.”

당혹감은 분노, 두려움, 죄책감에 휩싸이고 출구 없는 미로 속으로 거침없이 몰아세운다.
‘그를 위해 희생하느냐, 그로 인해 희생되느냐’
진실에 맞서는 그의 어머니는 과연, 어떤 선택을 내릴 것인가

어머니로서의 본성과 인간으로서의 이성, 그 찰나의 경계

연극, 영화, 드라마까지 다방면에서 대체 불가한 존재감으로 사랑받는 배우 김선영이 7년 만에 무대로 돌아온다. 지극히 평범했던 아들이 끔찍한 사건의 용의자로 지목되면서부터 시작된 혼돈. 배우 김선영은 ‘그의 어머니’로서의 본성과 이성 사이의 괴리에서 혼란과 고뇌를 시시각각 분출한다. ‘본성’, ‘이성’이라는 본질적인 키워드는 인간의 내밀함을 들여다보는 연출가 류주연에 의해 치밀하게 구성되며 불편한 진실을 가감 없이 들춰낸다. 돌고 도는 무대 위 마지막 촛불이 꺼지는 순간, 우리는 새로운 딜레마를 마주하게 될 것이다.

SYNOPSIS

불현듯 낯설어진 아들, 사방에서 몰려오는 비난.
어머니는 희생자이자 괴물이 되어간다.
어머니의 사랑은 어디까지 달려갈까?
그리고 그 대가는 무엇일까?

두 아들을 위해 아침식사를 요리하는 브렌다의 평범한 아침.
하지만 그녀의 얼굴은 이미 모든 신문의 표지를 뒤덮었다.
둘째 아들 제이슨은 학교에 가기를 거부하고, 10대 소년인 첫째 아들 매튜는 2층에서 가택연금 중인 상황.
브렌다는 끔찍한 범죄를 저지른 자신의 아들이 미성년자(청소년범죄)로 처벌받을 수 있도록 싸우고 있다.
그 과정에서 그녀는 불편한 진실과 마주하게 되는데...

만드는 사람들

작 에반 플레이시ㅣ번역 이인수ㅣ연출 류주연

무대소품 이희순ㅣ조명 박성희ㅣ의상 최원
분장 이동민ㅣ음악 RAINBOW99ㅣ음향 이고은
영상 장주희ㅣ움직임 조하영ㅣ조연출 김경빈ㅣ제작진행 김지윤

브렌다 카포위츠 役_김선영
제이슨 카포위츠 役_최자운
매튜 카포위츠 役_최호재
로버트 로젠버그 役_홍선우
제시카 役_이다혜
스티븐 役_김용준
테스 役_김시영

할인 및 혜택

작 에반 플레이시

캐나다-영국 출신의 극작가이자 시나리오 작가이며, 현재 영국 런던에 거주하고 있다.
그의 데뷔 작품인 < Mother of Him >은 토론토 Tarragon Theatre의 The inaugural RBC National Playwriting Award, 영국의 The King’s Cross Award, 미국의 The Samuel French Canadian Play Award를 수상했다. 이 희곡은 국제적으로 공연되었으며 BBC 라디오에서 각색되어 방송되었고, 이후 런던의 Park Theatre에서 재공연되었다.
그는 Jugend Theatre Preis Baden-Wurttemberg (Germany), Scenic Youth prize (France), Brian Way Award, Royal Society of Literature’s Literature Matters Award, the Writers’ Guild Award for Best Play for Young Audiences (all UK) 등 여러 상을 수상했고, 그의 희곡은 12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다. TV 작품으로는 < Soulmates (AMC/Amazon) >, < The Bay (ITV) >, < The Tattooist of Auschwitz (Sky) > 등이 있으며, 최근 Brit List에 이름을 올렸다.

주요작품
< Girls Like That >, < Orange Polar Bear >, < Keepy Uppy >, < Consensual >, < Jekyll & Hyde >, < Pronoun >,
< WiLd! >, < Scarberia >, < Holloway Jones >, < Banana Boys >

연출 류주연

극단 산수유 대표
다양한 군상들의 내면에 대한 섬세한 표현과 관객과의 탁월한 공감대 형성으로 주목받는 연출가이다. 번안극 <경남 창녕군 길곡면>, <허물>, <12인의 성난 사람들> 등 다양한 작품들을 통해 번역극에 내재한 토착화의 한계를 자연스러운 표현과 보편적 감정에 주목하여 관객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해왔다.

주요작품
<고트>, <12인의 성난 사람들>, <당신은 아들을 모른다>, <공포가 시작된다>, <누란누란>, <후회하는 자들>, <기묘여행>, <별무리>, <경남 창녕군 길곡면>, <1945> 

수상
2022 제24회 김상열연극상
2019 제37회 영희연극상
2017 제4회 이데일리 문화대상 연극 부문 최우수상 <12인의 성난 사람들>
외 다수

 

할인권종명

할인율

대상 및 증빙

다음 할인은 국립극단 홈페이지 및 콜센터 1644-2003에서 모두 예매가 가능합니다.

유료회원

40%

 1인당 4매 한

 • 유료회원 우선예매: 국립극단 홈페이지와 콜센터에서 가능

대학생 및 청소년

40%

 대학생: 현재 대학교 재학 중인 본인만

 • 2021 이후 학번: 관람 당일 할인 적용받은 전원 학생증 지참 필

 • 2020 이전 학번: 관람 당일 할인 적용받은 전원 관람일 기준 3개월 이내

 발급받은 재학증명서(학사정보시스템 대체 가능)와 함께 신분증 지참 필

 대학원생 적용 불가

 청소년: 24세까지 본인만(공연 관람일 기준 생일 지나지 않은 2000년 이후

  출생자)

 • 관람 당일 할인 적용받은 전원 신분증 지참 필

푸른티켓

(24세 이하)

1만 5천원

(S석 한정)

 24세 이하 본인만(공연 관람일 기준 생일 지나지 않은 2000년 이후 출생자)

 • 관람 당일 신분증 지참 필

 • 푸른티켓 본인 이름으로 예매 및 관람

 * 판매수량 한정, 푸른티켓 마감 후 예매 변경 시 적용 불가

초반회차

30%

 4.2.(수)~4.4.(금) 회차에 한함

 • 2024.12.5.(목)까지 예매 가능

삼삼오오

30%

 3인 이상 동일 회차, 동일 등급 관람 시 적용

 • 부분취소 불가

문화릴레이티켓

20%

 문화릴레이티켓 참여기관 유료 공연 관람자 1인당 2매 한

 •관람 당일 참여기관에서 2024년 1월 이후 실물 유료 티켓,

  문화포털-오늘의 공연 인증 혹은 예매내역 지참 필

 온라인 공연 및 전시 제외 / 예매문자 및 캡처 화면으로 증빙 불가

 * 참여기관은 하단 상세내역 참조

 

국립극단

연극인회원

50%

 본인만(공연별 1회에 한함)

 • 관람 당일 신분증 지참 필

 • 연극인회원 본인 이름으로 예매 및 관람

문화누리카드소지자

50%

 문화누리카드 소지자 본인만

 • 관람 당일 문화누리카드(본인 서명 필)와 함께 신분증 지참 필

 • 문화누리카드 소지자 본인 이름으로 예매 및 관람

예술인패스소지자

30%

 예술인패스 소지자 1인당 2매 한

 • 관람 당일 2023.09 이후 발급한 예술인패스(실물 또는 모바일) 와 함께

  신분증 지참 필

장애인

50%

 1인당 2매 한

 • 관람 당일 복지카드 지참 필

 * 휠체어석 예매는 국립극단 콜센터 (1644-2003) 통해서 가능

경로

(65세 이상)

50%

 65세 이상 본인만(공연 관람일 기준 생일 지난 1960년 이전 출생자)

 • 관람 당일 할인 적용받은 전원 신분증 지참 필

임산부

20%

 1인당 2매 한

 • 관람 당일 국민행복 카드(구 아이사랑 카드), 산모수첩과 함께

  신분증 지참 필

 

 

다음 할인은 국립극단 콜센터 1644-2003를 통해서 예매가 가능합니다.

다자녀카드소지자

20%

 다자녀카드 소지자 본인만

 • 관람 당일 다자녀카드와 함께 신분증 지참 필

 지방자치단체에서 발급한 다자녀카드 소지자에 한함

국가유공자

국가유공자 유족

50%

 국가유공자증 및 국가유공자 유족증 소지자 1인당 2매 한

 • 관람 당일 국가유공자증 및 국가유공자 유족증 지참 필

 (‘국가유공자, 국가유공자 유족’ 기재된 국가보훈등록증 대체 가능)

 • 국가유공자증, 국가유공자 유족증 소지자 본인 이름으로 예매 및 관람

보훈보상대상자

50%

 보훈보상대상증 소지자 1인당 2매 한

 • 관람 당일 보훈보상대상자증 지참 필

 (‘보훈보상대상자’ 기재된 국가보훈등록증 대체 가능)

 • 보훈보상대상자증 소지자 본인 이름으로 예매 및 관람

단체

30%

 20인 이상 동일 회차 관람 시 적용 (부분 취소 불가)

 

• 관람 당일 신분증 및 증빙자료(유료티켓, 학생증, 신분증 등)를 반드시 지참해 주시기 바랍니다. 선택한 할인의 대상자 전원이 직접 매표소 방문하여 증빙자료 확인 후 티켓 수령이 가능하며, 미지참 시 정가 기준 차액을 지불하셔야 티켓 수령이 가능합니다.

• 본인 1매만 예매 가능한 할인권종 선택 시 신분증 성함과 예매자 성함이 불일치하는 경우 정가 기준 차액을 지불하셔야 티켓 수령이 가능합니다.

• 관람 당일 선택한 할인에 해당하는 증빙자료 지참 시에만 차액 지불 없이 티켓 수령이 가능합니다. (할인율이 동일하더라도 변경 불가)

• 모든 할인은 중복 적용이 되지 않으며(관람자 1인당 하나의 할인만 적용 가능), 티켓 대리 수령 및 양도는 불가합니다.

 

▶문화릴레이 참여기관

경기아트센터, 국가유산진흥원, 국립국악원, 국립극단, 국립극장, 국립발레단, 국립오페라단, 국립정동극장, 국립합창단, 국립현대무용단, 서울예술단, 성남문화재단, 세종문화회관, 세종시문화관광재단, 안산문화재단, 예술의전당, 용인문화재단,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표지 앞면

그의 어머니 Mother of Him

 

※ 국립극단 문자 프로그램북은 일부 공연에 한해 제공하고 있으며, 추후 점진적으로 대상 공연을 확대해나갈 예정입니다.

 

국립극단에서는 공연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많은 관객분들과 나누고자 프로그램북 파일을 온라인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북은 시각장애인 관객을 위한 한글파일로, 인쇄된 프로그램북 내에 삽입된 이미지에 대한 설명과 원고가 텍스트로 담겨있습니다. 프로그램북을 통해 연극과 더욱 가까워지는 계기가 될 수 있었으면 합니다.

 

본 프로그램북이 연극과 더욱 가까워지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국립극단은 앞으로도 더욱 발전된 서비스와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프로그램북에 게재된 모든 원고, 사진 및 디자인에 대한 저작권은 국립극단 및 해당 저자의 소유로 저작자의 허가 없이는 재사용(복제, 재인용 및 개인 SNS와 웹사이트 게시 등)이 불가합니다. 비영리 및 학술적 용도로 복제, 재인용을 원하시는 경우 국립극단 공연기획팀에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연락처: perf@ntck.or.kr

 

(이미지: 국립극단 로고)

표지 속면

국립극단 그의 어머니 Mother of Him

 

작 에반 플레이시

번역 이인수

연출 류주연

일정 2025년 4월 2일(수) – 4월 19일(토)

주최 (재)국립극단, 국립극장

제작 (재)국립극단

 

(이미지: 홍보 사진)

1P

일시 2025년 4월 2일(수) - 4월 19일(토)

장소 국립극장 달오름극장

주최 (재)국립극단, 국립극장

제작 (재)국립극단

 

(이미지: 포스터)

 

목차

작가 소개 2p

연출 소개 4p

시놉시스 6p

인물관계도 8p

출연진 10p

스태프 프로필 14p

작품 이해 돕기1 16p

작품 이해 돕기2 18p

디자인 스케치 20p

제이슨의 연습 일기 26P

연습 스케치 27p

만드는 사람들 30p

주최 (재)국립극단 국립극장 31p

2P

작가 소개

 

작 에반 플레이시 Evan Placey

 

캐나다-영국 출신의 극작가이자 시나리오 작가이며, 현재 영국 런던에 거주하고 있다.

그의 데뷔 작품인 < Mother of Him >은 토론토 Tarragon Theatre의 The inaugural RBC National Playwriting Award, 영국의 The King’s Cross Award, 미국의 The Samuel French Canadian Play Award를 수상했다. 이 희곡은 국제적으로 공연되었으며 BBC 라디오에서 각색되어 방송되었고, 이후 런던의 Park Theatre에서 재공연되었다.

그는 Jugend Theatre Preis Baden-Wurttemberg (Germany), Scenic Youth prize (France), Brian Way Award, Royal Society of Literature’s Literature Matters Award, the Writers’ Guild Award for Best Play for Young Audiences (all UK) 등 여러 상을 수상했고, 그의 희곡은 12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다. TV 작품으로는 < Soulmates (AMC/Amazon) >, < The Bay (ITV) >, < The Tattooist of Auschwitz (Sky) > 등이 있으며, 최근 Brit List에 이름을 올렸다.

3P

작가의 글

 

The world sometimes feels like it's in chaos. Theatre and art is what helps us make sense of the chaos - so we need it now more than ever. Mother of Him was my first play, written 17 years ago, and yet, to me, it seems more relevant than ever. How do we bring up children in this chaotic world? How can we learn to trust the media again? 


 

While Mother of Him centres around a horrific crime, it is a play about love. About how maternal love and brotherly love and the limitations of love and the resilience of love. It's about how we live without answers, however unsettling. 



 

I'm thrilled to have NTCK produce this play; I wrote this play about a Canadian-Jewish family, and to see the play cross cultures reminds me of the beautiful power of theatre and storytelling. I had the privilege of working with NTCK a few years ago, and I have no doubt that the wonderful production team have put together another wonderful production for you. Thank you to the NTCK team and actors, and thank you to you - the audience - for coming to see the play. I hope it continues to live in your mind in the coming days and prompts lots of discussion.



 

Evan Placey, 2025.

 

(한글 번역)

세상은 때때로 혼란스럽게만 느껴집니다. 연극과 예술은 그러한 혼란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주기에 지금 이 순간 우리는 그것을 더욱 필요로 합니다. <그의 어머니>는 저의 첫 희곡으로, 17년 전에 쓰였지만, 제게는 그 어느 때보다 유의미하게 다가오는 작품처럼 느껴집니다. 우리는 이 혼란스러운 세상에서 아이들을 어떻게 키워야 할까요? 어떻게 하면 다시 매체를 신뢰할 수 있을까요?

 

<그의 어머니>는 한 어머니와 그녀의 두 아들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끔찍한 사건을 배경으로 하지만, 그 중심에는 사랑이 있습니다. 모성애와 형제애, 사랑의 한계와 그 회복력에 대한 것이죠. 또한, 그 불확실성이 아무리 불안하더라도 삶을 살아내는 법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국립극단에서 <그의 어머니>를 선보이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 캐나다-유대계 가족에 대한 이 작품이 문화의 경계를 넘어 공연되는 모습을 보며 연극과 이야기의 강력한 힘을 다시금 실감합니다. 몇 년 전 국립극단과 <오렌지 북극곰>이라는 작품을 함께 했는데, 이번에도 훌륭한 프로덕션이 관객들을 위해 멋진 무대를 만들어 주셨을 거라 확신합니다.
국립극단과 스태프, 배우들께, 그리고 이 공연을 보러 와주신 관객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이 작품이 여러분의 마음속에 오래 남아 많은 생각을 이끌어낼 수 있기를 바랍니다.



 

2025년, 에반 플레이시.

4P

연출 소개

 

연출 류주연

극단 산수유 대표

 

다양한 군상들의 내면에 대한 섬세한 표현과 관객과의 탁월한 공감대 형성으로 주목받은 연출이다. 번안극 <경남 창녕군 길곡면>, <허물>, <12인의 성난 사람들> 등 다양한 작품들을 통해 번역극에 내재한 토착화의 한계를 자연스러운 표현과 보편적 감정에 주목하여 관객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해왔다.

5P

연출의 글

 

<그의 어머니>는 많은 것을 담고 있습니다. ‘아, 이것을 말하고 있구나.’ 싶었는데, 다음 날 또 다른 것이 보입니다. ‘아, 이거 재밌네.’ 싶으면 곧이어 또 다른 재미가 눈에 들어왔습니다. 연출의 방향을 잡고, 주제를 부각하기 위해서 많은 시간을 고심했지만, 자꾸만 이어지는 새로운 발견들로 난감하면서도 신나는 시간들을 보냈습니다.

 

‘가해자의 어머니’는 그 설정만으로 강력한 거부감과 호기심을 유발합니다. 하지만 작품이 주목하는 것은 ‘가해자’도 ‘어머니’도 아닌 ‘어떤 인간’입니다. ‘가해자’라는 벽에 ‘어머니’라는 벽이 겹겹이 더해진 끔찍한 상황에서 탈출을 시도하는 ‘어떤 인간’. 땅굴을 파기도 하고, 망치로 벽을 부숴도 봅니다. 온갖 수를 동원하지만 결국은 벽을 넘어가지 못합니다. 이런 의미에서 이 작품은 비극일까요? 연출은 이 작품이 해피엔딩이라고 생각합니다. 삶에서 무엇을 중심에 두느냐에 따라 관극 포인트는 달라질 것입니다.

 

작품에는 궁지에 몰린 인간이 보여주는 인간 본성의 나약함과 이기심, 용서할 수 없는 악인에게서도 인간성을 찾아야 한다는 휴머니즘, 부와 재능으로 한껏 올라있는 자신감이 무참히 무너지며 비로소 성찰하게 되는 한 인간, 가십과 여론의 얄팍함 등등 연습할수록 달라지고 발견되는 것은 하나같이 흥미롭습니다.

 

무엇을 보고, 무엇을 느끼던, 그것은 모두 옳습니다.

이제 곧 공연을 해야 하는 연습 막바지에 이토록 열어놓고 작품을 대하기는 오랜만인 것 같습니다. 작품의 모든 것이 의미롭고, 재밌고, 아픕니다. 많이 느끼고 담고 연민하고 가시길 바랍니다.

 

이 모든 과정에 도움을 준 배우들, 스텝들에게 감사합니다.

특별히 배우 이상의 역할을 해준 김용준 배우와 김선영 배우에게 감사합니다.

마지막으로 이 작품을 소개해 주고, 공연화의 기회를 준 국립극단과 박정희 예술감독님께 감사합니다.

덕분에 연출로써 행복했습니다.

6P

시놉시스

 

불현듯 낯설어진 아들, 사방에서 몰려오는 비난.

어머니는 희생자이자 괴물이 되어간다.

어머니의 사랑은 어디까지 달려갈까?

그리고 그 대가는 무엇일까?

 

두 아들을 위해 아침식사를 요리하는 브렌다의 평범한 아침.

하지만 그녀의 얼굴은 이미 모든 신문의 표지를 뒤덮었다.

둘째 아들 제이슨은 학교에 가기를 거부하고,

10대 소년인 첫째 아들 매튜는 2층에서 가택연금 중인 상황.

브렌다는 끔찍한 범죄를 저지른 자신의 아들이

미성년자(청소년범죄)로 처벌받을 수 있도록 싸우고 있다.

그 과정에서 그녀는 불편한 진실과 마주하게 되는데...

 

A son who once felt familiar now seems like a stranger.

A storm of condemnation closes in from all sides.

A mother turns into both a victim and a monster.

How far does a mother’s love go, and what at what cost?

 

It seems like a morning like any other as Brenda prepares breakfast for her two sons.

But today, her face is splashed across the cover of every newspaper.

Jason refuses to go to school, while her teenage son,

Matthew, is under house arrest upstairs.

Matthew has committed a terrible crime, and as Brenda fights for him

to be sentenced as a child, she is forced to confront an unsettling truth.

7P

(이미지 : 홍보 사진)

8P

인물관계도

브렌다(건축 디자이너)

매튜: 브렌다의 첫째아들

제이슨: 브렌다의 둘째아들

스티븐(사업가): 브렌다의 전남편

로버트(변호사): 매튜의 변호사이자 브렌다의 친구

제시카: 매튜의 여자친구

테스(청소도우미): 브렌다 집의 청소도우미

9P

(이미지 : 홍보 사진)

10-13P

출연진

(이미지: 배우 프로필 사진)

 

김선영 Kim Sunyoung

브렌다 카포위츠 Brenda Kapowitz

[드라마]

2025 <중증외상센터> 넷플릭스

2024 <정숙한 세일즈> JTBC

2023 <퀸메이커> 넷플릭스

외 다수

 

[영화]

2024 <파묘>

2023 <콘크리트 유토피아>

2023 <드림팰리스>

2022 <리턴 투 서울>

2021 <세자매>

외 다수

 

[수상]

2024 제22회 디렉터스컷 어워즈 영화 부문 여자배우상 <콘크리트 유토피아>

2023 올해의 여성영화인상 연기상 <드림팰리스>

2023 제59회 대종상영화제 여우조연상 <콘크리트 유토피아>

2023 제20회 아시안 필름 페스티벌 여우주연상 <드림팰리스>

2021 제22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여자연기자상 <세자매>

2021 제42회 청룡영화상 여우조연상 <세자매>

2021 제41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여우조연상 <세자매>

2021 제30회 부일영화상 여우조연상 <세자매>

2021 제57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조연상 <세자매>

2020 제56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조연상 <사랑의 불시착>

외 다수
 

최자운 Choi Jaun

제이슨 카포위츠 Jason Kapowitz

[드라마]

2025 <멜로무비> 넷플릭스

2025 <원경> tvN

2024 <취하는 로맨스> ENA

2024 <정숙한 세일즈> JTBC

2024 <아들이 죽었다> tvN

2024 <비밀은 없어> JTBC

2024 <선재 업고 튀어> tvN

2023 <고려 거란 전쟁> KBS2

2023 <연인> MBC

2023 <남남> ENA

외 다수

 

최호재 Choi Hojae

매튜 카포위츠 Matthew Kapowitz

[연극]

2024 갤러리99

2024 <시루섬의 기적> 단양문화예술회관

2024 <올모스트 메인> 극장 봄

2023 <최후의 연극> 작은극장 돌체

2022 <아니 근데 진짜> 극장 봄

2022 <내가 그린 너에게> R&J씨어터

외 다수

 

홍선우 Hong Seonwoo

로버트 로젠버그 Robert Rosenberg

[연극]

2024 <전기 없는 마을>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소극장

2024 <활화산> 명동예술극장
2023 <오셀로>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

2023 <히어(HIR)> 더줌아트센터

2022 대학로극장 쿼드

2021 <어느 마을> KOCCA 콘텐츠문화광장 스테이지66

2021 <지정>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예술극장 극장1
2020 <작가>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2020 <은하계 제국에서 랑데부> 연우소극장

2019 <모토타운> KOCCA 콘텐츠문화광장 스테이지66

외 다수

 

김용준 Kim Yongjun

스티븐 Steven

[연극]

2025 <더 시걸> 선돌극장

2024 <메리제인> 미마지아트센터 물빛극장

2024 <생활의 비용> 미아리고개예술극장

2024 <햄릿> 명동예술극장

2023 <숲>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2023 <나무 위의 군대> LG아트센터 서울 U+ 스테이지

2023 <검은 소년> 꿈의숲아트센터 퍼포먼스홀

2023 <에뛰드> 예술공간 혜화

2022 <보이지 않는 손> 예스24아트원 2관

2022 <공포가 시작된다>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외 다수

 

이다혜 Lee Dahye

제시카 Jessica

[연극]

2024 <최후의 분대장-제1부 조선의용군>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2024 <전기 없는 마을>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소극장

2024 <호모세투스> KT&G 상상마당 대치아트홀

2024 <스카팽> 명동예술극장

2023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소극장

2023 <당신에게 닿는 길>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소극장

2023 <벚꽃 동산> 명동예술극장

2022 <한남의 광시곡> 선돌극장

2022 연우소극장

2020 <화전가> 명동예술극장

외 다수

 

김시영 Kim Siyoung

테스 Tess

[연극]

2024 <발사 6개월 전> 대학로 공간 아울

2024 <간과 강> 명동예술극장

2024 <새들의 무덤>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2024 <이것은 사랑이야기가 아니다> 국립정동극장

2023 예스24아트원 3관

2023 <당신에게 닿는 길>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소극장

2023 <보존과학자> 백성희장민호극장

2023 <슈미> LG아트센터 서울 U+ 스테이지

2022 <표절 작가> 스튜디오76

2022 <앨리스 인 베드> 명동예술극장

외 다수

 

[수상]

2021 제2회 29아나 관람전 연기상

14-15P

스태프 프로필

 

에반 플레이시 Evan Placey

연극 < Girls Like That >, < Orange Polar Bear >, < Keepy Uppy >, < Consensual >, < Jekyll & Hyde >, < Pronoun >, < WiLd! >, < Scarberia >, < Holloway Jones >, < Banana Boys > 외 다수

 

번역

이인수 Lee Insoo

연극 <빈센트 리버>, <여왕과 나이팅게일>, <콘센트-동의>, <스테디 레인>, <이건 로맨스가 아니야>, <글로리아> 외 다수

 

연출

류주연 Ryu Juyoun

연극 <고트(GOTT)>, <12인의 성난 사람들>, <당신은 아들을 모른다>, <공포가 시작된다>, <누란누란>, <후회하는 자들>, <기묘여행>, <별무리>, <경남 창녕군 길곡면>, <1945> 외 다수

 

[수상]

2022 제24회 김상열연극상

2019 제37회 영희연극상

2017 제4회 이데일리 문화대상 연극 부문 최우수상 <12인의 성난 사람들>

2017 월간 한국연극 공연 베스트7 <12인의 성난 사람들>

2017 공연과 이론 작품상 <12인의 성난 사람들>

2010 제47회 동아연극상 신인 연출상 <기묘여행>

 

무대·소품

이희순 Lee Heesoon

연극 <고트(GOTT)>, <12인의 성난 사람들>, <당신은 아들을 모른다>, <공포가 시작된다>, <누란누란>, <오만한 후손들>, <경남 창녕군 길곡면>, <고비>, <1945> 외 다수

 

조명

박성희 Pak Sunghee

연극 <퉁소소리>, <고트(GOTT)>, <빵야>, <회란기>, <당신은 아들을 모른다>, <공포가 시작된다>, <누란누란>, <동양극장 2020>, <한여름 밤의 꿈>, <후회하는 자들>, <1945> 외 다수

뮤지컬 <천 개의 파랑>, <브라더스 까라마조프> 외 다수

 

의상

최원 Choi One

연극 <만선>, <고트(GOTT)>, <장녀들>, <12인의 성난 사람들>, <숲>, <베르나르다 알바의 집>, <리어왕>, <고도를 기다리며>, <고독한 목욕>, <경남 창녕군 길곡면>, <1945> 외 다수

 

분장

이동민 Lee Dongmin

연극 <만선>, <우리읍내>, <고트(GOTT)>, <다이빙 보드>, <단명소녀 투쟁기>, <조씨고아, 복수의 씨앗>, <갈매기>, <벚꽃 동산>, <오슬로에서 온 남자> 외 다수

 

[수상]

2023 한국여성연극협회 제14회 올빛상 분장상

2016 Asia 美 Awards Best stage makeup artist award

 

음악

RAINBOW99

연극 <당신은 아들을 모른다>, <공포가 시작된다>, <누란누란>, <임파티언스>, <밤이면 나는 우주로 간다>, <한여름 밤의 꿈>, <거리의 사자>, <바람직한 청소년>, <기묘여행>, <거미여인의 키스> 외 다수

 

음향

이고은 Lee Goeun

연극 <몽양, 1919>, <태양을 향해> 외 다수

뮤지컬 <캐치! 티니핑>, <헬로카봇>, <흔한남매> 외 다수

 

영상

장주희 Jang Joohui

연극 <닐 암스트롱이 달에 갔을 때>, <이상한어린이연극 – 오감도>, <신파의 세기>, <그녀를 용서할 수 있을까>, <고고와 도도> 외 다수

오페라 <광화문광장 야외오페라 -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이상의 날개> 외 다수

다원 <대도시의 공간과 소음>, 외 다수

 

움직임

조하영 Cho Hayoung

연극 <거리>, <숲>, <도가니>, <살,색>, <화로>, <고역>, <집시들>, <사이클> 외 다수

 

조연출

김경빈 Kim Kyungbin

연극 <즐거운 우리집>, <고트(GOTT)>, <숲>, <12인의 성난 사람들>, <공포가 시작된다>, <누란누란>, <후회하는 자들>, <오만한 후손들>, <기묘여행> 외 다수

16-17P

작품 이해 돕기 1: <그의 어머니> 속 유대 문화

하누카(חנוכה Hannukkah)

히브리어로 ‘봉헌(dedication)’을 의미한다.

AD 167년부터 셀룩시드왕조 안티오쿠스 4세의 유대교 탄압에 반기를 든 마카비가문이 그리스 군대를 무찌르고 이교도에 의해 더럽혀진 예루살렘 성전을 재탈환하여 다시 봉헌한 것을 축하하는 명절이다.

성전 등잔에 불을 밝힐 올리브 기름이 하루분밖에 남지 않았지만, 성전이 새로 봉헌될 때까지 8일 동안 불이 꺼지지 않았던 기적이 일어나, 이를 기념하는 ‘빛의 절기(Feast of Lights)’로 삼았다. 유대력(Jewish calendar)으로 키슬레브(כִּסְלֵו Kislev) 25일에 시작하며 8일 동안 지켜진다.

그 기간은 양력으로 12월에서 1월 사이다.

 

키파(כיפה Kippah)

유대인 남성이 기도하는 동안 머리에 쓰는 둥근 모자. 하나님을 경외하는 의미에서 정수리를 가리기 위해 쓴다.

주로 안식일이나 종교의식이 있는 명절에 쓴다.

 

메노라(המנורה Menorah)

히브리어로 ‘등불(lamp)’을 의미. 유대교 종교의식에 사용되는 일곱 갈래로 나눠진 촛대.

모세가 시나이산에서 십계명을 받을 때 불이 피어오르지만 타지는 않는 떨기나무에서 나타난 하나님을 상징한다.

다만 하누카에 사용되는 메노라는 8일간의 하누카 기간 동안 하루에 하나씩 초를 붙이기 때문에 8개의 촛대, 거기에 다른 초에 불을 붙이기 위한 가운데 촛대까지 총 아홉 갈래이다.

 

샤마쉬(שמש Shamash)

하누카 메노라의 9개 촛대 중 가운데 위치한 촛대. 다른 촛대에 불을 붙이기 위한 촛대(히브리어로 ‘helper’의 의미)다.

 

라트케(לאטקע Latke)

하누카 기간에 먹는 기름에 튀긴 감자 팬케이크.

기름 하루분으로 성전의 등잔불이 꺼지지 않았던 기적을 기념하면서 기름에 튀긴 음식을 먹는다.

 

하누카 촛불을 밝히며 낭송하는 축복기도

בָּרוּךְ אַתָּה יְהוָה אֱלֹהֵינוּ מֶלֶךְ הָעוֹלָם

바루크 아타 아도나이 엘로헤이누 멜레크 하올람

오 우리 주 하나님, 만물의 왕이시여 영광 받으옵소서

 

אֲשֶׁר קִדְּשָׁנוּ בְּמִצְוֹתָיו, וְצִוָּנוּ לְהַדְלִיק נֵר שֶׁל חֲנֻכָּה

아셰르 키드샤누 베미쯔보타브 베찌바누 레하들맄흐 네르 쉘 하누카

말씀으로 우리를 깨끗케 하시고 하누카 촛불을 켜라고 명하신 주님

 

마짜(מַצָּה Matzah)

유대인들이 이집트 신왕국에서 해방된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유월절 다음 날부터 7일 동안 만들어 먹는다. 누룩을 넣지 않고 만든 딱딱하고 납작한 빵으로, 과거의 고난을 기억하기 위해 먹는다.

 

유월절(פֶסַח Passover)

유대인들이 이집트 신왕국의 노예 생활로부터 탈출한 사건을 기념한 데서 유래한 날이다. 유월절이라는 명칭은 고대 이집트에 내려진 10가지 재앙 중 마지막 재앙인 '장자들의 죽음'으로부터 넘어갔다는 데서 유래한다.

 

(이미지: 어린 남자아이의 뒷모습. 키파를 쓰고 있고, 앞에는 메노라가 놓여있다.)

 

출처

wikipedia

https://www.chabad.org

이스라엘문화원 http://www.ilculture.or.kr/main.php

18-19P

작품 이해 돕기 2: 캐나다 알아보기

 

Toronto Sun, Toronto Star

작품 내에서 언급되는 토론토 썬(Toronto Sun)과 토론토 스타(Toronto Star)는 각각 타블로이드 언론의 예시로 언급되거나 황색 언론이라 비판받은 바 있는 등 언론의 부정적 면을 내포하고 있다.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보도의 근본적인 기능, 언론의 윤리보다 판매 부수와 같은 영리적 취지에 집중하며 뉴스성 기사보다 오락 정보를, 정치•경제와 같은 사회적 소식보다 스포츠, 범죄, 유명인과 같이 화제성 있는 내용을 주로 다룬다는 특징이 있다. 본문보다 선정적이거나 자극적인 소재의 사진, 헤드라인이 더 많은 지면을 차지하고 가짜 뉴스를 싣기도 한다.

 

조건부 구금 Conditional Sentence of Imprisonment

유죄를 선고받은 범죄자에게 법원이 2년 이하의 징역형을 선고한 경우, 지역 공동체 내에서 감독하려는 목적으로 감옥이 아닌 곳에서 형을 살도록 명령할 수 있다. 조건부 구금은 때때로 형의 전체 기간 혹은 일부를 그들의 집에서 보내도록 요구되기 때문에 ‘가택 연금’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가택 연금 중인 범죄자는 일을 하거나, 교육•종교활동에 참석하거나, 긴급상황이 아니라면 반드시 그들의 집에 머물러야 한다.

 

소년법

캐나다 의회는 1984년 4월, 12세 이상 청소년도 범죄로 간주되는 행동을 했을 시에 기소될 수 있다고 규정하는 소년 범죄자 법(Young Offenders Act)을 제정했다. 해당 법은 초기에 구금형을 3년으로 제한했으나 점차 최대 10년으로 연장되었으며, 1996년에는 16세 이상 청소년이라면 경우에 따라 성인으로 재판받을 수 있도록 하는 조항도 마련되었다.

현재는 2003년 발효된 소년 사법(Youth Criminal Justice Act)이 해당 법을 대체하여 청소년 범죄에 대한 사법 체계를 규정하고 있다. 12세에서 17세 사이 청소년에게 적용되며, 성인과 똑같은 방식이나 정도는 아니더라도 범죄의 정도에 비례한 공정한 방법으로 범죄에 책임 져야 한다는 것을 인정한다. 하지만 사건의 심각성에 따라 법원이 성인형을 선고할 권한도 있으며 그러할 경우,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형법에 따른 형벌이 적용된다. 다만, 18세가 되기 전까지는 성인 교도소에서 형기를 복역할 수 없다.

 

(이미지1: 전반적으로 기온이 낮은 날씨 그래프 이미지)

“자정 쯤에는 눈이 7센티미터 쌓이겠고, 내일 새벽 6시쯤에는 20센티미터가 쌓이겠습니다. 가능하다면, 안전하고 따뜻한 집 안에 계시는 것이 가장 좋겠습니다.”

 

캐나다 온타리오 주의 토론토는 여름에는 따듯하지만 겨울에는 기온의 변화가 극심한 편이다. 거의 매년 온도가 –20°C 이하로 떨어지는 한파가 발생하는데 특히, 작품의 배경이 되는 1998년 쯤에는 겨울마다 발생한 재해로 그 날씨를 예상해볼 수 있다. 1998년 1월, 온타리오주 동부에 불어닥친 얼음 폭풍은 1,000명에 달하는 사상자를 발생시키고, 수만그루의 나무를 부러트리며 도시를 마비시켰다. 사람들은 몇 주간 어둠 속에 남겨져 있었으며 위기 상황에 배치된 캐나다군 규모는 한국 전쟁 이후 최대였다. 이후 1999년 1월엔 최대 65cm의 적설량이라는 기록적인 폭설이 쏟아지기도 했다.

 

에드먼턴 몰 West Edmonton Mall

에드먼턴 몰은 캐나다 앨버타주 에드먼턴에 위치한 세계적인 규모의 쇼핑센터이다. 800개 이상이라는 입점 매장 수는 무려 서반구에서 가장 많은 숫자다. 또한 실내 스케이트장, 워터파크 등의 오락시설과 스포츠 시설이 준비되어 있다. 1981년 개장한 이후 2004년까지는 세계에서 가장 큰 실내 쇼핑센터라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이미지2: 지도 위에 브렌다 집(레슬리 앤드 요크 밀즈 Leslie and York Mills)과 스티븐 집(욘지 앤드 에글린턴 Yonge and Eglinton)이 표시되어 있다. 두 지점 사이 거리는 6KM, 차로 10분 소요된다.)

 

출처

wikipedia

캐나다 법무부 https://www.justice.gc.ca/

캐나다 형법 The Criminal Code of Canada (January, 2025 ver.)

Legal Aid Ontario

Weather Spark

20-23P

디자인 스케치

 

무대·소품 이희순

(이미지: 각각 부엌과 거실을 정면으로 하는 무대 스케치 이미지)

 

조명 박성희

<그의 어머니> 빛 컨셉의 고민은 인물 간의 긴장과 내면적 갈등으로 인한 감정적 상태를 시각적으로 강조하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인물 중심의 빛을 구상하며 이들이 존재하는 공간, 점점 극으로 전개되는 상황의 날카로우며 차갑고, 무거운 공기, 언론들에 의해 포위당해 외부와 차단한 공간에서의 인물화가 컨셉이 되었다.

 

이를 위해 백색에 가까운 무채색의 색채의 조명은 작품 전반에 감도는 냉담함, 외부의 차가운 시선, 정서적 거리감을 표현하며, 절제된 샤프한 빛을 구성하여 인물의 상처와 고뇌, 갈등을 결이 강한 빛으로 조명한다.

 

또한 최소 순간으로만 열리는 문을 통해 쏟아져 들어오는 카메라 플래시를 사실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외부의 침입, 노출을 시각화하며 장과 장 사이의 전환 메시지와 일치시킨다. 전환에서는 이미 스스로 심리적, 감정적인 감옥에 갇힌 일상을 보내는 이들의 삶과 타인으로부터 감시당하고 감금된 듯한 양의적 의미를 시각화하기 위해 빛의 형태를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닫힌 블라인드 틈으로 새어 들어오는 얇은 직선의 빛 형태는 감옥의 이미지와 외부의 시선을 대신하여 공간의 제한성과 고립을 표현하며 빛의 움직임을 통해 시간과 감정으로 흐름을 나타내도록 한다. 이러한 흐름은 극의 전체 구성에서도 나타나는데 초반에는 낮과 밤의 변화가 분명하지만, 중후반부로 갈수록 빛의 흐름이 불분명해지고, 무대 전체가 점점 어두워지거나 정체된 빛으로 이동, 현실과 감정의 경계가 무너지는 느낌을 조성함으로써 이들 가족의 균열과 인간으로서의 본성과 이성의 경계의 혼돈을 표현한다.

 

의상 최원

(이미지 : 의상 스케치 이미지)

 

음악 류승현

(이미지 : 2막 7장과 8장 사이 전환에 나오는 음악의 일부 악보 이미지)

 

처음 희곡을 읽었을 때부터 중심이 되는 음은 'A'였으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작업했습니다. 가장 보편적이고 기준이 되는 음인 'A'로부터 시작해 점점 불안하게 분열했으면 했어요. 그리고 어머니, 그의 어머니의 마음 속, 비정형적으로 분절되고 반복되는 수많은 감정들과 생각들을 따라가는데 집중했습니다.

 

영상 장주희

(이미지1: 어둠 속에서 촛불이 켜져있는 듯한 흑백의 레퍼런스 이미지)

(이미지2: 영상 소스 이미지)

 

어머니가 감당해야 하는 사랑과 책임의 무게, 그리고 그 이면의 사회적 기대와 강요. 하누카의 촛불이 늘어날수록 가족의 희망과 이상은 흐려지고, 익명의 가십과 뉴스는 그녀를 조여온다. 잘려나간 말은 계속 그녀 주위를 맴돌고, 프레임 속 그녀는 어디에도 닿지 못한 채 기대와 책임의 무게 속에서 머문다.

24-25P

(이미지: 홍보 사진)

26P

제이슨의 연습 일기

(이미지1: 연습 일기를 작성중인 최자운 배우 사진)

(이미지2: 최자운 배우가 직접 그린 그림 일기 - 2025년 3월 8일 날씨 그럭저럭. 오늘은 로버트 삼촌, 나, 테스 이모랑 컵차기를 했다 그리고 연기 연습을 했다 재미 있었다!!!!!)

27-29P

연습 사진

(이미지: 연습 사진)

30P

만드는 사람들

 

출연

김선영 김시영 김용준 이다혜

최자운 최호재 홍선우

 

스태프

작 에반 플레이시

번역 이인수

연출 류주연

 

무대·소품 이희순

조명 박성희

의상 최원

분장 이동민

음악 RAINBOW99

음향 이고은

영상 장주희

움직임 조하영

조연출 김경빈

 

무대기술 총괄 음창인

무대감독 김태연

무대제작감독 홍영진

조명감독 김용주

음향감독 박정현

의상감독 박지수

무대진행 박상준 김학준 민경웅 장수지

의상진행 박휘민 박민선

분장진행 김예현 배효정

음향RF 김서경

영상오퍼레이터 함승완

영상진행 김병목

 

조명프로그래머 문동민

조명팀 정선주 조은실 한동석 조현산

박진희 김봉균 정예찬 심효은

음향팀 유기순 성위연 양병환 안동재

 

무대제작 아트제이_대표 이진경

무대제작팀 조환준 이종민 이범용 임학균 윤진상 정병문

소품제작 인감_대표 김혜지

의상제작 포도필름_대표 최원

의상어시스턴트 방마리 이혜린

 

턴테이블임차 ㈜시너지이펙트_대표 하동선

조명장비임차 (유)메이크센스컴퍼니_대표 서재연

음향장비임차 스타원커뮤니케이션_대표 원수희

영상장비임차 엠투비쥬얼_대표 김순태

카메라장비임차 한엔터테인먼트_대표 한동찬

고보제작 GOBO STUDIO_대표 백믿음

 

목소리 고용선 김경빈 김서아 김정연 김지윤 류주연 박현숙 서유덕 이지혜 조성준

 

자막제작·한글자막해설 이청

자막운용 이수림

영문자막 번역·감수 조용경

 

한국수어통역 공인수어통번역 잘함_대표 김홍남

김도희 김홍남 이수현 정지현 조유나

 

음성해설 작 구지수 김내원

음성해설 자문 김혜영

음성해설 내레이션 백혜경

무대모형 음성해설 녹음 안세운

 

무대모형제작 무유_대표 최세헌

 

접근성매니저 김나래

수어통역안내원 안강숙

음성해설수신기안내원 김가민

이동지원안내원 김종현 김이현

 

홍보·마케팅 총괄 박보영

홍보 박선영

마케팅 정진영

온라인마케팅 노소연

기업협찬 이현아

 

홍보사진·티저영상 스튜디오 오프비트_대표 최근우

홍보촬영 의상 스타일리스트 루나 스튜디오_대표 박휘민

홍보·하이라이트영상 602스튜디오_대표 김영준

연습·공연사진 나승열

기록영상 삼인칭시점_대표 김태환

 

메인디자인 페이퍼프레스_대표 박신우

응용디자인 모어댄뷰_대표 이하경

옥외광고 심애드_대표 김윤성

홍보물 인쇄 인타임플러스_대표 김종민

 

프로그램북디자인 스튜디오 샘_대표 이샘

프로그램북 인쇄 한림문화사_대표 정구선

프로그램북판매안내원 정제혁

 

티켓 김보배

매표안내원 강민주 김인혜 이현우 홍유연

 

기획·제작 총괄 정용성

프로듀서 김정연

어시스턴트프로듀서 오성경

제작진행 김지윤

아역전담매니저 김채린

 

주최 (재)국립극단 국립극장

제작 (재)국립극단

단장 겸 예술감독 박정희

사무국장 정광호

31P

주최 (재)국립극단 국립극장

 

[재단법인 국립극단]

 

(재)국립극단 이사회

곽정환 이사장 코웰 회장

박정희 이사 (재)국립극단 단장 겸 예술감독

이종열 이사 기획자·연극배우

임대일 이사 (사)한국연극배우협회 이사장

김은희 이사 연극배우

이단비 이사 공연 전문 통번역가·드라마트루그

신은향 이사 문화체육관광부 예술정책관

박인건 이사 국립중앙극장 극장장

이영석 감사 위드회계법인 대표이사

 

단장 겸 예술감독

박정희

 

사무국장

정광호

 

경영관리팀

신민희 팀장

현승은 정병옥 박지민 박예원 이민희 송한유 김민주 최신화 이다미

 

공연기획팀

정용성 팀장

김정연 박성연 이송이 이슬예 정진영 김주빈 이지윤 임수경 손수강 오성경

 

홍보협력팀

박보영 팀장

김성제 이현아 이정현 조영채 박선영 최소연 노소연 최명은

 

무대기술팀

음창인 팀장

김용주 홍영진 류선영 이병석 박지수 나혜민 박정현 김정빈

경은주 김태연 장도희 이승수 윤성희 심나래 최윤정

 

창작개발팀

정용성 팀장

김효선 김윤형 박지혜 김수정 주설아 박하은

 

극장운영팀

이시영 팀장

김나래 김수현 김보배 임윤희 손주형

 

어린이청소년극연구소

김미선 소장 직무대리

손준형 임수빈 이유미 이정민

 

[국립극장]

국립극장장 박인건

 

공연기획부
공연기획부장 이동현

책임프로듀서 권태연 이재금

프로듀서 이서정 박은혜

마케팅 지원 오수정

티켓마스터 오윤지

하우스매니저 이선옥 박지현 변혜진 임지은

공연안내 정지윤 이인영 이지윤

어린이놀이방 이은혜

 

무대예술부

무대예술부장 손후윤(직무대리)

무대기술팀장 손후윤

기술행정 김홍석

안전관리 목호찬

무대감독 오상영

기계 김성식 이정환

조명 김종락

음향 신동희

영상 지병환

무대미술팀장 정복모

미술행정 정욱

장치 기술지원 김정규 신슬기

소품 지원 김민주

 

교육전시부

교육전시부장 김만수

홍보팀장 유옥경

책임프로듀서 우다슬

월간 국립극장 김보나

SNS 구해나

홈페이지 유정수

32P-36P

(이미지) 국립극단 후원회 명단

 

33p (광고 이미지1) 국립극단 온라인 극장

34p (광고 이미지2) 국립극단 회원제

35p (광고 이미지3) 국립극단 고객만족도조사

36p (광고 이미지4) 국립극단 제휴처 혜택 안내

표지 속면

(광고 이미지5) 국립극장 창극 <베니스의 상인들>

뒷표지

미워할 수가 없어. 어떻게 미워해? 그게 자식의 저주야,
THE NATIONAL THEATER COMPANY OF KOREA

(이미지: 국립극단 로고)

이미지 겔러리 이미지

관련콘텐츠

국립극단에서는 공연과 관련된 강연,
예술가와의 대화, 50분 토론 등의
연극강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국립극단은 공연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더욱 많은 관객 분들과 나누고자 홈페이지에서 공연 프로그램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2018년 9월 1일 이후) 공연 프로그램 다운로드 공연 포스터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