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적도 아래의 맥베스> 마녀의 유혹에 휩쓸린 맥베스와, 전범들
-
작성자 (*퇴회원)
등록일 2010.10.16
조회 2026
연극은 <태평양 전쟁>당시 가장 많은 인물이 희생되었다는 태국의 철도부설 현장에서 다큐멘터리를 찍는 것으로 시작한다. 주인공은 전범으로 사형을 받았으나 감형되어 생존한 인물로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관객들은 다큐멘터리 제작에 직접 참여한 것 같은 독특한 느낌을 받는다.
한일합병으로 식민지 국가였던 조선의 청년들이 일본 태평양전쟁에 징집 되어 참전해 싸웠고, 일본을 위해 일했다는 이유로 인해 일본인이 아니면서도 전쟁범죄인으로 몰려 사형선고를 받았던 한국 청년들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다. 사회적 상황으로 인해 피해자이지만 가해자로 몰린 한국인 군속들의 문제를 연극 제목에서 보듯이 맥베스와 연결시키려는 의도 같지만 셰익스피어의 희곡을 읽어본 지 오래되었다거나 잘 모르는 관객들에게는 의도를 전달시키지 못 할 수 있다.
연극 자체는 지루했다. 집에 오고 나서 여러 사이트나 블로그를 찾아봐도 "괜찮았다"라는 정도가 좋은 반응에 속했다. 프로그램 책에서 연출을 맡은 손진책 대표의 글을 언급하자면 '객관적으로 오늘의 공연을 통해 한일 역사의 문제를 반추하며 가해자와 피해자의 문제를 들추려는 것은 아니고, 현실을 규탄하려고 하는 것도 아니다. 다만 우리가 외면하고 잊고 있었던 역사를 제대로 응시하면서 그 가운데 억울하게 죽어간 당시의 젊은이들을 기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동안 우리는 그 역사적 진실을 암묵적으로 용인했고 방치한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였는지 모른다. 역사적인 내용을 다룬 연극들은 관객들의 심금을 울리기 위해 노력했고 처절하기까지 했다. 그러나 이번 연극은 객관적인 시선을 통해 연극을 연출해 보는 사람의 입장으로는 중심부에 들어가지 못하고 겉을 도는 느낌이 들었다.
무대의 배경은 대형 스크린과 배경 막에 영상을 투여함으로써, 전쟁 상황의 처참함을 관객들도 연극에 따라 느낄 수 있었다. 다큐멘터리의 가장 큰 주제 장소였던 태국의 철도를 상징해 무대정면 객석 가까이에 녹슨 철로의 일부분을 설치했고 사진으로 직접 철로를 보여줌으로써 시대적 간극과 시간적 공간의 문제를 해결했다. 수용소에서의 둔탁한 철문의 여닫는 음향효과로 육중한 무게를 실감하도록 하는 투철함까지 보였으며, 마지막 반딧불이가 날아다니는 장면은 스크린과 배경 막에 투사된 반딧불이의 영상을 띄워 아름다운 연출을 했다.
연출면으로는 훌륭한 연출을 보여주었다.